미쿠니 아파트 - 최초의 아파트 > 전해주는 이야기

본문 바로가기
사이드메뉴 열기
공부대통령 공부이야기 입시아카데미


5d3edd3d579f28d5b4b84e93f29d0215_1596530159_355.jpg


5d3edd3d579f28d5b4b84e93f29d0215_1596529628_9221.jpg

 

미쿠니 아파트 - 최초의 아파트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3,362회

본문

1930년, 화창한 주말 오후 일본인들이 모여 살던 서울 본정통(지금의 충무로). 상점 앞이나 식당에 모인 사람들의 대화 주제는 최근 회현동에 세워진 3층짜리 공동주택에 관한 것이었다. 일반 사무실이나 백화점은 그 이전에도 고층 건물이 있었지만 주택을 3층으로 올린 것은 이례적이었기 때문이다. 더욱이 한 건물에 한 세대가 아닌 여러 세대가 함께 거주하는 '공동주택' 개념은 당시 매우 생소했다.
아파트, 첫 모습을 드러내다.
2049587376_idKCG1B7_20px.jpg
이 건물을 건립한 기업은 경성 미쿠니(三國)상사. 이 회사는 한국 주재 일본인 직원들을 위해 회현동에 관사를 짓고 그 이름을 '미쿠니아파트'라고 붙였다. 구조가 지금의 아파트와 많이 달랐지만 바로 이 관사가 한국 최초의 아파트로 역사에 이름을 올린 건물이다. 우리나라 주택의 역사에서 '아파트'라는 말이 처음 등장한 것은 미쿠니아파트가 모습을 드러내기 몇년 전이었다. 지난해 출간된 <한국 주거의 사회사>(돌베개, 2008)와 <대한주택공사 30년사>(대한주택공사, 1992) 등에 따르면 1920년대 일본 공영주택건설기관인 동윤회가 '아파트'를 설계했다는 기록이 나온다. 그러나 실제 아파트로 모습을 드러낸 첫 건물은 미쿠니아파트였다.
2049587376_VJHaOkfp_1-1.jpg
충정아파트의 최근 모습
2049587376_oeT4NI8w_1-2.jpg
좁은 중정을 사이에 둔 아파트 내부
2049587376_ck0XFh7T_1-3.jpg
중정을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
1935, 경성 미쿠니상사는 더욱 진보된 건축 기술로 내자동에 또 하나의 관사(아파트)를 짓는다. 이 건축물에 대해서는 더 많은 정보가 전해진다. 회현동 관사는 벽돌로 지었으나 이 아파트는 콘크리트 자재를 썼고 4층 높이에 외관도 현대식으로 설계됐다. 평면 구조는 4개의 다다미 방과 부엌, 화장실을 갖추었고 개별 난방을 제공했다. 제법 현대식 아파트의 면모를 갖추고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아파트 건물 안에 공동화장실과 식당, 오락실 등 각종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어 '관사'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다. 회현동 미쿠니아파트가 나온 이듬해 관사가 아닌 임대를 위한 아파트도 등장했다. 4층 콘크리트 건물로 지어진 충정아파트(유림아파트). 이 아파트는 주로 일본인들을 대상으로 임대됐다. 평면과 구조는 미쿠니아파트와 큰 차이점이 없었다. '도요타'라는 일본인 건축가가 설계했다고 해서 '도요타아파트'로도 알려진 건물이다.
2049587376_yF0i14Vx_2-1.jpg
충정아파트의 평면도(중정 공간 실측)
2049587376_s8MUiTcG_2-2.jpg
충정아파트의 종단면도
2049587376_9e0dk4K5_2-3.jpg
충정아파트의 횡단면도
하지만 우리나라 아파트의 역사는 미쿠니아파트와 유림아파트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일제시대 초기인 1910년대 일본기업과 공공기관이 한국에 온 일본인 노동자를 위해 건립한 '()'라는 건축물에서 우리는 아파트의 원형을 찾을 수 있다. 요는 엄밀한 의미에서 아파트라고 할 수 없지만 '공동주택' 형태를 띠었다는 점에서 아파트와 같은 계통이다. 굳이 비유하자면 아파트와 요의 관계는 인류와 유인원(類人猿)의 관계와 비슷했다.
한국건축가협회가 1994년 발간한 <한국의 현대건축 1876~1990>에서는 에 대해 이렇게 설명한다. "평면 형식은 장방형(사각형)을 채택했고 (중략) 9.9(3) 침실은 3450*3600 또는 3600*2850 규모였으며 같은 건물내에 식당, 공동욕실, 공동화장실, 공동세면장 등이 마련돼 있었다." 아파트라기 보다는 2, 3층으로 된 군대 막사와 더 유사했던 것같다. 아파트가 주요 자재로 콘크리트를 사용한 데 비해 요는 벽돌을 사용했다는 점도 큰 차이점이다. 경성전력주식회사가 신당동에 세운 '장진요'를 비롯해 일본인 노동자가 많이 살았던 회현동, 회현동, 용산 등에 이런 요들이 많이 세워졌다. 그렇다면 당시 아파트 입주민들은 누구였을까? 신문기사나 간행물에 따르면 일제시대 아파트는 중산층을 위한 주택이었다. 노동자들이 거주했던 요와는 달리 관사로 쓰인 미쿠니아파트는 주로 간부급 직원들이 살았다. 아파트라는 새로운 주거 공간에 특히 열광한 사람들은 경제적인 여유가 있는 젊은 세대였다. 그들은 기존 주택에 비해 개인생활을 더 철저하게 보장해 주고 최신 설비를 갖춘 아파트야말로 미래 주거문화가 나아갈 길이라고 생각했다. 그 시대 아파트에 대해 글을 쓴 작가나 기자들은 한결같이 '새로운 문화를 여는 첨병' 또는 '쾌적하고 즐거운 도시 생활로 이끌어 주는 주거공간'으로 찬미하고 있다. 1930년대까지 아파트는 일본인의 전유물이었다. 아파트를 건립한 사람도 일본인이었고 그곳에 사는 주민도 일본인이었다. 한국인 상류층이나 중산층은 주로 한옥에 살았고 하층민들은 가마니로 만든 '토막'에 거주했다.
1942년이 돼야 한국인 손으로 건설한 아파트가 나타난다. 대한주택공사의 전신(前身)인 조선주택영단이 설립한 혜화아파트다. 이 아파트는 일본식 다다미와 좌식생활을 고려해 설계됐다. 한국인 손으로 건립됐다고 하지만 1930년대 나온 아파트와 본질적으로 큰 차이는 없었다. 결국 '한국식 아파트'는 그후 10년이 넘는 세월이 흐른 뒤 해방을 맞은 '대한민국'에서 그 싹을 틔운다